|
성경 용어사전 - 바 (바, 뱌)2015.08.06 21:04 바(a way) 다른 말 아래에 붙어서 ‘방법’, ‘일’이란 뜻으로 쓰임(창2:19,33:8;요일1:1;갈5:18). “태초부터 있는 생명의 말씀에 관하여는 우리가 들은 바요 눈으로 본 바요 주목하고 우리 손으로 만진 바라”(요일1:1) 바구니(basket) 버들가지, 갈대, 종려나무 잎 등으로 둥글고 속이 깊게 결어 만든 그릇(막8:19;요6:13;마14:20;눅9:17). 유대인은 여행 때, 이방인으로부터 음식물을 사는 일이 없기 위해 바구니에 식료품을 넣어 가지고 다녔다. “이에 거두니 보리떡 다섯 개로 먹고 남은 조각이 열 두 바구니에 찼더라”(요6:13) 바기엘(Pagiel: 하나님의 뜻) 모세가 시내 광야에서 백성 수를 조사할 때 아셀 지파의 두령으로 뽑혀 협조한 사람이다(민1:4,13,2:27,7:72,77,10:26). 바깥(outside) 밖이 되는 곳(신6:9;레4:12;마25:30,22:13). 바깥 뜰(outer court) 주 건축물의 외부의 있는 뜰(겔10:5;에6:4;마26:69). 바깥 일(outdoor work) 집 밖에서 하는 일(대상26:29;느11:16). 바꾸다(trade) 어떠한 것을 주고 대신 받다. 다른 상태로 되게 하다(아8:7;레27:33;마16:26;롬1:23). “사람이 만일 온 천하를 얻고도 제 목숨을 잃으면 무엇이 유익하리요 사람이 무엇을 주고 제 목숨을 바꾸겠느냐”(마16:26) 바나바(Barnabas: 권위자) 사도들이 구브로 섬 출신의 레위 사람 요셉에게 붙여준 이름이다(행4:36). 바나바는 일찍부터 그리스도인이 되었으며(행4:37), 기독교 최초 개종한 한 사람이다. 성령을 받은 후에 토지를 팔아서 사도들에게 바쳐 구제 사업에 쓰게 하였다(행4:36,37). 사울이 회개한 후 예루살렘에 가서 교우들을 만나고자 하나 모두 핍박자로 알고 두려워 만나지 않을 때에 바나바가 데리고 가서 소개하였다(행9:26 -27). 5년 후 예루살렘 교회는 안디옥 교회가 왕성한다는 소식을 듣고 바나바를 시찰차 파송하였다(행11:20). 다소에가서 바울을 데리고 안디옥에 와서 같이 전도하여 대부흥을 일으켰다(행11:25-26). 주후 45년 바울과 같이 안디옥 교회에서 헌금을 가지고 예루살렘에 갔다가 오는 길에 생질 마가를 데리고 왔다(행11:30,12:25). 바누엘(Phanuel: 하나님의 얼굴) 예수 탄생 당시의 예언자 안나의 아버지(눅2:36). 바늘(needle) 바느질을 하는데 쓰는 기구. 옷을 짓거나 꾸미는데 쓴다. 보통 강제(鋼製)로서 끝이 뾰족하고, 바늘 위쪽에 실을 꿰는 구멍이 뚫려져 있다. 바늘귀(needle's eye) 바늘 위쪽에 실을 꿰는 구멍(마19:24;눅18:24,25). 좁은 문을 의미한다. “약대가 바늘귀로 들어가는 것이 부자가 하나님 나라에 들어가는 것보다 쉬우니라 하신 대”(눅18:24,25) 바니(Bani: 후예) ① 갓 지파 다윗의 30용사 중 한 사람(삼하23:36) ② 레위인 에스라가 율법을 가르칠 때에 기도를 인도한 사람 중 한 사람(느9:4,5) ③ 이 외에 7인이 있다(대상6:46,9:4;스2:10,10:38;느3:17,10:14,11:22). 바다 ① (海, sea) 지구 표면에 육지를 둘러싸고 있는 물(창1:10;계21:1). 하나님은 바다의 창조주로(창1:9,10) 바다를 통제하시고(시104:6-9)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게 하신다(출14장;시77:16). 예수께서도 폭풍을 가라앉히시거나(막4:35-41) 물 위로 걸으셨다(막6:45-52) ② (molten) 놋(청동)으로 주조 장식된 물두멍(왕상7:26;왕하25:16;대하4:6). 제사장의 몸을 씻는 물을 가득히 채우고 있었다. 솔로몬이 세운 성전의 안뜰에 있던 ‘바다’는 직경 10규빗(약4.6m), 높이 5규빗(약2.3m), 주위 30규빗(약13.7m), 반원형의 물두멍으로서 그 용량이 2천밧(약 4,600리터)이였다. “하나님이 뭍을 땅이라 칭하시고 모인 물을 바다라 칭하시니라 하나님의 보시기에 좋았더라”(창1:10) “또 내가 새 하늘과 새 땅을 보니 처음 하늘과 처음 땅이 없어졌고 바다도 다시 있지 않더라”(계21:1) 바다라(Patara: 통역) 아시아 루시아도의 항구(행21:1,2). 바다 풀(weeds) 요나가 바다 속에 던져진 때의 고난의 상황묘사에 인용되어 있는 식물(욘2:5). ‘갈’, ‘갈대’로도 번역되어 있다(출2:3,5). 바닷물(sea water) 바다의 물(출14:21,15:19;시46:3). 바대(Parthia) 미디안 동편(지금의 이라크의 한 지방)에 있던 나라. 바대는 A.D. 3세기에 페르시아에 의하여 멸망되었다. 바대인(parthians) 바대 나라 사람(행2:9). 바대인은 기마와 활로 유명한 백성이었다. 바돈(Padon: 구속) 솔로몬의 신하였던 느디님 사람의 조상(스2:44). 바돌로매(Bartholomew: 돌로매의 아들) ‘나다나엘’과 같은 사람이라고 생각한다(마10:3;막3:18;행1:13;롬6:14;요1:45,21:2). 갈릴리 가나에서 나서, 예수의 12사도의 1인이 되고(막3:18), 소아시아, 인도 등에서 전도했으며, 아르메니아에 가서 전도하다가 물에 빠뜨림을 당하는 죽음으로 순교하였다고 한다. 바둑판 모양(checker work) 정자(井字) 모양으로 이은 것(왕상7:17). 바드랍빔(Bath Rabbim: 민중의 딸) 헤스본 성의 성문 이름(아7;4). 바드로(Pathros: 남방 땅) 애굽어 '바도레스‘로 상 애굽을 가리킴(렘44:1;사11:11;겔29:14). 바드로바(Patrobas: 아비의 생명) 로마교회의 그리스도인(롬16:14). 바드로스(Pathros: 남쪽 지방) 애굽의 남부지방(사11:11;렘44;15;겔29;14).바벨론에 의하여 추방당한 이스라엘 백성들이 거주하였다. 바드루심(Pathrusim: 남쪽 땅의 사람들) 함의 손자. 미스라임의 아들(창10:14;대상1:12). 바디(reed) 베틀에 날을 고르며 씨를 치는 구실을 하는 기구(삿16:14). 바디매오(Bartimaeus: 디메오의 아들) 예수님께 눈 고침을 받은 거지(막10:46). 바라(Parah: 새끼암소) 예루살렘 동북의 와데이바리에 있는 굴벳바라로 추측(수18:23). 바라갸(Barachias: 주의 복) 사가랴의 부친(마23:35;눅11:51), 바라겔(Barachel: 하나님이 축복하여 주심) 욥의 친구 엘리후의 부친(욥32:2). 바라다 원하거나 기대하다(삼상26:24;시25:3;(히11:1;고전13:7;롬8:24). “믿음은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요 보지 못하는 것들의 증거니”(히11:1) “모든 것을 참으며 모든 것을 믿으며 모든 것을 바라며 모든 것을 견디느니라”(고전13:7) 바라바(Barabbas: 그의 아들) 살인죄로 예수와 동시에 잡힌 사람(마27:26;막15:7;요18:40). 바라보다(see, look at) 바로 건너다 보다(출16:10;민16:42;히12:2;벧후3:12). “믿음의 주요 또 온전케 하시는 이인 예수를 바라보자 저는 그 앞에 있는 즐거움을 위하여 십자가를 참으사 부끄러움을 개의치 아니하시더니 하나님 보좌 우편에 앉으셨느니라”(히12:2) 바락(Barak: 번개) 납달리 지파 아비나움의 아들(삼상12:11;대상7:17). 여사사 드보라와 같이 가나안을 격멸하고 노래를 지어 하나님을 찬송하였다(삿4:5;히11:32). 바란(Paran) : 빛나는 땅) 애굽과 미디안 사이에 가데스와 신 평야를 포함하고 있는 들(왕상11:18;민13:21;창21:21) 바람 ① (風, wind) 공기의 움직임(출15:10;겔37:9;막4:39;약1:11). 불어오는 방향은 ‘풍향’이라 한다. 히브리어로 바람은 ‘영’, ‘숨’(호흡)과 같고, 마음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 말이다. ② (want) 소망. 희망(시33:20,62:1;롬15:24;고전16:7). “예수께서 깨어 바람을 꾸짖으시며 바다더러 이르시되 잠잠하라 고요하라 하시니 바람이 그치고 아주 잔잔하여지더라”(막4:39) 바로 ① (pharaoh: 큰 집, 태양) 애굽 왕의 칭호(창12:15;히11:24). 단독적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고(출1:11;행7:10) 왕의 개인 이름과 결합되어 쓰이는 경우도 있다(왕하23:29). 성경에 기록된 바로는 12인이나 이름이 밝혀진 바로(왕)는 단지 네 명뿐이다. 곧, 바로 느고(왕하23:29,33-35;렘46:2), 바로 호브라(렘44:30), 바로 시삭(왕상 11:40,14:25;대하12:1-9), 바로 소(왕하17:4)이다 ② 바르게. 곧게(삿12:6;욥11:13;눅20:21;롬13:6) ③ 머물지 않고 곧장(렘49:5;삼상6:12;행14:10;마25:16). 바로느고(Pharaoh-nechoh) 애굽 26왕조 제2대왕(주전609-579) 느고 2세. 스에즈 운하를 제일 먼저 계획한 사람. 므깃도 평원에서 유대와 싸워 요시아를 죽임(왕하23:29-33;대하35:20-22). 바로스(Parosh: 벼룩) ① 스룹바벨과 함께 바벨론에서 귀환한 사람(스2:3) ② 느헤미야 때 회개와 자숙에 맹약서에 인친 방백 중의 한 사람(느10:14). 바로의 딸(Pharaoh's daughter) ① 애굽 제18 왕조의 세 번째 왕 투트모 1세(B.C. 1539~1514년)의 무남독녀 ‘핫셈수트’를 가리킨다(출2:5,10;행7:21). 강에 버려진 아기 ‘모세’를 양자로 받아들여((B.C. 1526년경) 키웠다. 투트모 2세와 결혼하였으나 자식이 없었고, 19년간 왕으로 섭정을 했기 때문에 이때 모세는 애굽의 궁중에서 강력한 위치에 있었다 ② 솔로몬과 혼인한 애굽왕의 딸(왕상7:8,9:24;대하8:11) ③ 유다 지파 베렛의 아내 비디아(대상4:18). 바로 호브라(Pharaoh Hophra) 애굽 왕(렘44:30)이며 제26왕조의 4대 왕. 예레미야의 예언대로 후에 부하 장군 아하메스에 의해서 살해됨. 바루아(Paruach) 여호사밧의 부친으로서 솔로몬 왕의 식물을 관장하던 자(왕상4:17). 바룩(Baruck: 축복받은 자) ① 비리야의 아들. 예레미야의 벗(렘32:12)이며 예레미야의 서기(렘36:4)로 예레미야를 도왔다(렘36:23). 그달야가 죽은 후 그가 예레미야에게 권하여 유대의 남은 백성이 애굽에 가는 것을 반대한 것으로 비난을 받고 있다(렘43:3) ② 삽배의 아들(느8:20) ③ 하사야의 손자 골호세의 아들(느11:5). 바르게(reform, correct) 거짓이 없게. 참되게(렘7:3;왕상9:4;잠15:21;딤후3:16). “만군의 여호와 이스라엘의 하나님이 이같이 말씀하시되 너희 길과 행위를 바르게 하라 그리하면 내가 너희로 이곳에 거하게 하리라”(렘7:3) 바르고스(Barqos: 에돔의 신) 고스의 아들. 성전 봉사자로 느디님 족속의 조상(느7:55;스2;53). 바르낙(Parnak: 섬세한) 스볼론 지파중의 족장이었던 엘리사반의 아버지(민34:25). 바르다 ① 묻히다(시23:5;레2:4;마6:17;요9:11) ② 도리에 맞다(잠16:25;삼하15:3;딛2:8;행8:21). 바르 미츠와(Bar Mitzvah) 계율의 아들. 성년식. 유대인 소년은 13세, 소녀는 만 12세 되는 다음 날 의식을 행할 수 있게 되는데 대개 그 날 이후 가장 가까운 안식일 날 회당에 가서 랍비 주례로 행하게 되며 이 날 친지, 친척들을 초대하여 잔치를 베푸는데 결혼식 잔치에 버금갈 만큼 큰 행사이다. 이스라엘에서 유대인 소년 소녀들이 성인례를 치루고 나면 몇 가지 의무가 생기는데 첫째, 하나님께 자기를 위해서 기도를 해야 하며 안식일을 지켜 회당에 가서 예배에 참여해야 한다. 손님 앞에서 성경구절을 읽고 설교를 해야 하며 평소에 스스로 토라(모세5경)를 읽어야 할 의무가 시작된다. 그리고 매일 아침 테필린(Tefillin)을 이마에 감고 팔뚝에 매고 기도를 해야 하는 등 새로운 의무들이 주어진다. 예수는 12세때 예루살렘의 명절에 상경하였는데, ‘바르 미츠와’로 되는 1년 전이었다(눅2:42). 바르발(Pharpar) 나아만이 지적한 다메섹의 하천의 하나(왕하5:1-12). 바르실래(Barzillai) ① 다윗을 도와준 로글림의 길르앗에 살던 부자(삼하17:27-29;왕상2:7) ② 바르실레(①)의 사위인 제사장(스2'61;느7;63,64). 본명은 ‘아두스’ ③ 아드리엘(사울왕의 딸 메랍의 남편)의 아버지(삼상18;19;삼하21:8). 바르와임(Parvaim) 솔로몬이 지은 성전의 천정을 도장한 정금의 산지(대하3:5,6). 바르훔(Barthumite) 다윗의 30용사 아스마웻의 고향(삼하23:30). 일명 ‘바하룸“(대상11:33). 바른 교훈(-敎訓, sound doctrine) 건전한 교훈(딤전1:10;딛1:9;딤후4:3). 거짓 교훈에 대하여, ‘그리스도의 정통적 교의 체계’를 의미한다. 신앙고백, 선교, 이단에서의 보호를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신조가 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여진다(롬6:17). “미쁜 말씀의 가르침을 그대로 지켜야 하리니 이는 능히 바른 교훈으로 권면하고 거스려 말하는 자들을 책망하게 하려 함이라"(딛1:9) 바른 길(justice) 정당한 길. 참된 도리(창24:48;시107:7;행13:10;벧후2:15). “가로되 모든 궤계와 악행이 가득한 자요 마귀의 자식이요 모든 의의 원수여 주의 바른 길을 굽게 하기를 그치지 아니하겠느냐”(행13:10) 바른성경(KTV) 일부 보수 교단들이 중심이 된 한국성경공회가 발간한 성경으로, 지난 99년 6월부터 8년 6개월동안 번역작업에 착수해 2007년 12월 25일 발간됐다. 바른성경 편찬 작업에는 개신대학원대학교와 광신대와 고신대 등 전국 17개 대학의 신학자와 교수, 번역전문가 등 43명이 번역위원으로 참여했다. 대본으로는 구약성경은 Biblia Hebraica Stuttgartensia(2nd ed., 1983)의 마소라 본문을 사용했으며 신약성경은 Greek New Testament(4th corrected ed.)를 함께 사용했다. 바른성경은 히브리어와 헬라어 원문에 충실하면서, 현대어법을 최대한 살렸다. 예를 들어 '하나님이 가라사대'는 '하나님께서 말씀하시길'로 '총이 없다','자단 하다' 등의 고어는 '미움을 받다', '스스로 판단하다' 등 현대어로, '다메섹'과 '바사' 등 오래된 지명은 다마스쿠스와 페르시아 등으로 바꿔 표기했다. 바리 ① (basin, bowl) 식기의 일종(민7:85;렘52:19) ② (load) 짐승의 등에 실은 짐을 세는 단위(왕하5:17). 바리새인(Pharisees: ‘분리된 자) 유대교 안에서 종교개혁 운동을 일으킨 ’하시딤‘의 한 지파(마23:13,26;눅11:39;행23:6). 유대교의 규례를 엄격히 준수하고, 천사의 존재와 부활을 믿었다. 다니엘은 하시딤의 전형적인 인물이었다. 바리새파는 율법의 용감한 수호자로서 헬레니즘을 막는 방파제 역할을 담당했다. 그들의 율법은 613개 조항으로 되어 있는데, 248개는 긍정적이며 365개는 부정적인 것이다. 이것에 다른 많은 보조적인 명령들이 추가되었는데, 이 원칙은 아무도 깨뜨릴 수 없었다(안식일 조항만도 39개나 되었다). 또한 이들은 기록된 토라, 즉 모세 오경과 마찬가지로 구전 토라, 즉 미쉬나(2세기경 랍비 유다 하나시가 편집함)도 똑같은 권위를 부여했다(장로들의 유전,마15:2). “소경된 바리새인아 너는 먼저 안을 깨끗이 하라 그리하면 겉도 깨끗하리라”(마23:26) 바리새파(Pharisees: ‘분리된 자) 유대교 안에서 발생한 종교 분파(행15:5).->바리새인 바리야(Bariah: 도망자) 다윗의 후손 스마야의 아들(대상3:22). 바마(Bamah) 가증한 의식을 행하는 우상의 산당(겔20;29). 바마스다(Parmashta: 제1의 사람) 유대인을 진멸시키려던 하만의 열 아들 중의 하나(에9:9). 바메나(Parmenas) 예루살렘 교회 7집사중 한 사람(행6:5). 바못(Bamoth: 바알의 산당) 아모리 사람 시혼의 한 성읍(민21:19,20). 바못 바알(Bamoth Baal: 바알의 산당) 모압왕 발락이 발람을 데리고 올라가 이스라엘을 저주해달라고 한 곳(수13:17). 바벨(Babel: 혼돈) 바벨론 제국의 수도(창10:10;11;9).->바벨론 바벨론(Babylon: 혼란케 하다) 국명 겸 도시의 이름으로 로마인들이 부르던 갈대아 인의 영토(렘24:5;겔12:13;왕하24:7).
바벨탑(Babel tower) 이름을 온 땅에 드러내고 흩어짐을 면하기 위하여 시날 평지에 쌓은 탑(창11:1-9). 이 탑의 크기를 헤로도토스의 <역사> 등 여러 고증을 통해서 보면(길이×너비×높이), 1층이 90m×90m×33m, 2층은 78m×78m×18m, 3층은 60m×60m×6m, 4층은 51m×51m×6m, 5층은 42m×42m×6m, 6층은 33m×33m×6m이고, 7층이 24m×24m×15m로 알려져 있다. 탑은 인간이 자기의 위대함과 하나님 없이 인간의 일치를 만들 수가 있다는 인간의 세속적 야심을 상징하고 있다. 하나님은 인간의 교만에 심판을 내리시는데, 그것은 어떤 폭력적 수단에 의하지 않고, 다만 언어를 혼란케 하시는 방법을 취하셨다. ‘하나에서 여럿으로’가 바벨의 분열의 비극이고, ‘여럿에서 하나로’가 오순절의 축복이다. “그러므로 그 이름을 바벨이라 하니 이는 여호와께서 거기서 온 땅의 언어를 혼잡케 하셨음이라 여호와께서 거기서 그들을 온 지면에 흩으셨더라”(창11:9) 바보(Paphos: 대문) 구브로 서남쪽에 있는 항구 도시(행13:6,11). 바사(Persia) 동은 갈마니야, 서는 수사, 남은 바사만, 북은 메데를 경계로 삼은 국가(단6:16;스7:1;느12:22). 일명 ‘페르시아’ 현재 ‘이란’이다. 바사바(Barsabbas: 맹세의 아들) ① 요셉 또는 유스도라하는 사람으로 기롯 유다 후임을 선택할 때 후보자로 추천 되었다(행1:23-26) ② 일명 유다, 예루살렘 공회에서 결정한 규례를 가지고 바울과 바나바와 같 이 안디옥에 갔다(행15:22). 바삭(Pasach: 분배자) 아셀족속 야블렛의 장남(대상7:33). 바산(Bashan: 과실이 많은 땅) 동은 하우란 산악, 서는 갈릴리 호수, 남은 길르앗, 북은 헬몬산 사이에 펼쳐진 광대한 지역(시22:12;사2:13;민21:33). 바산다다(Parshandatha: 기도로 얻은 자) 바사왕 아하수에로의 신하인 하만의 아들(에9:7) 바세아(Paseah: 절름발이) ① 유다지파 에스돈의 아들(대상4:12) ② 바벨론 포로에서 귀환한 느디님 사람의 조상(스2:49) ③ 예루살렘 성전 개축 때, 옛문을 중수한 요아다의 아버지(느3:6). 바스담밈(Pas Dammim) 다윗의 군대가 블레셋 군을 물리쳤던 곳(대상11:13). 일명 ‘에베스담밈(삼상17:1) 바스맛(Pashemath: 향기) ① 에서의 아내로서 헷 족속 엘론의 딸(창26:34) ② 에서의 다른 한 아내로서 이스마엘의 딸(창28:9,36:3,17) ③ 솔로몬의 딸로 아히마아스의 처(왕상4:15). 바스훌(Pashul: 평화) ① 예루살렘 함락 직전(주전586) 시드기야를 모신 고관으로 예언자 예레미야를 반대한 사람(렘21:1;시38:-) ② 여호야김 왕 때 성전 제사장이던 임멜의 아들. 예레미야는 그 이름을 고쳐 ’끌밋사빕‘(공포에 둘러 쌓이리라)이라고 지어줌(렘20:1-6) ③ 그다랴의 아버지(렘38:1) ④ 제사장 가족의 선조(에 2:38) ⑤ 느혜미야 때의 제사장(느10:3). 바슬룻(Bazluth: 벗긴다) 스룹바벨과 함께 바벨론 포로에서 귀환한(B.C. 538년) 느디님 사람 조상의 하나(스2:52). '바슬릿'과 동일인(느7:54) 바슬릿(Bazlith: 요구) 바벨론에서 귀향한 성전 봉사자(느7;54).->바슬룻 바실래(Barzillai) ① 다윗이 압살롬의 난을 피하여 망명했을 때 다윗과 그 군대에 식량을 공급한 길르앗의 추장(삼하17:27) ② 아드리엘의 아버지(삼하21:8). 바아나(Baanah: 슬픔의 아들) ① 베냐민 사람. 형제 레갑과 같이 사울왕의 후계자 이스보셋을 죽임(삼하4:2-12) ② 후새의 아들(왕상4;16) ③ 아힐룻의 아들로 솔로몬의 지방장관(왕상4:12) ④ 사독의 아버지(느3;4;느10:27) ⑤ 다윗의 용사 헬렙의 아버지(삼하23:29;대상11;30) 바아라(Paarai: 어리석은) 아람인으로 다윗의 30용사(삼하23:35). 바아래(Paarai: 크게 열림) 다윗의 30용사로 아라비아인(삼하23:25). 에스배의 아들 '나아래'로도 표기되었다(대상11:37). 바아사(Baasha: 바알은 태양이시다) 잇사갈 지파 아히야의 아들. 나답과 여로보암의 온 가족을 죽이고 왕위에 올라24년간 통치(주전 906-883)하였으나 악행이 많으므로 여호가 여로보암처럼 파멸될 것을 선언함(왕상15:27,16:1-4). 바아세야(Baaseiah: 여호와는 대담하심) 레위지파 말기야의 아들이며 미가엘의 아버지. 바알(Baal: 주, 소유자) ① 르우벤 지파 요엘의 후손(대상5;5) ② 사울왕의 선조(대상8:30,9:36) ③ 시므온 지파의 영토 안에 있던 성읍(대상4;33) ④ 수리아와 가나안의 유명한 생산 신(민22:4;삿3:7). 바알을 풍년을 가져다주는 신으로 생각하였다(왕상18:18). 이스라엘 민족은 가나안 정착 초기부터 바알 신앙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유목생활에서 농경생활로 옮긴데 원인이 있다 바알갓(Baal-gad: 행운의 바알) 레바논 골짜기에 바알신을 숭배하는 성(수11:17,12:7,13:15). 바알다말(Baal-tamar: 대추 야자의 바알) 예루살렘 북쪽 6.4km 기브아 근처(삿20:33). 바알라(Baalah: 주인) ① 유다 북편에 있는데 일명 ‘기럇여아림’(수15:9,10;대상13;6) ② 유다 남쪽 변경의 성읍(수15:29). 바알라산(Baalah) 유다 지파 영역의 경계 지역 에그론과 압느엘 사이에 있던 산(수15;11). 바알랏(Baalathr: 여주인) 단 지파에 속하였던 성읍(수19:44;대하8;6;왕상9;18). 바알랏 브엘(Baalath-beer: 우물의 바알) 네겜 남쪽 끝 브엘 근처. 일명 ‘마라’(수19:8). 바알레 유다(Baale Judah) 예루살렘 서족에 있던 성읍(삼하6;2). 바알리스(Baalis: 높음의 아들) 예레미야 시대에 암몬 족속의 왕(렘40;14). 바알므온(Baal-menon: 바알의 거주지) 모압 고원에 르우벤 지파가 세운 성읍(민32:38;겔 25:9). 벳바알므온(수13:17). 벳므온(렘48:23), 브온(민32:3)과 동일한 성읍. 바알브라심(Baal-perazim) 다윗이 이스라엘 왕이 된 후 맨 처음 블레셋군을 이곳에서 파하고 “여호와가 내 대적을 물을 흩음같이 흩으셨다” 하여 지은 이름(삼하5:20,21;대상14:11). 바알브릿(Baal Berit: 언약의 바알) 세겜인들이 숭배하던 바알 우상(삿8:33,9:4). 바알브올(Baal Peor: 브올에서 섬기는 바알) 생식과 출산을 관장하던 프리아푸스 여신(호9:10;민25:3,5). 바알살리사(Baal Shalishah) 에브라임 지파 영토의 살리사 지역의 성읍(왕하4;42). 바알세불(Baalzebul: 파리의 왕) 귀신의 왕(마10:25). 사단의 별명으로(눅11:18,19) ‘바알세붑'과 동일한 신이다(왕하1:2). 바알세붑(Baalzebub: 파리의 왕) 에그론 사람들이 섬기던 신(왕하1:2,3,16). 바알스본(Baal-zephon: 북쪽의 바알) 나일강 동편에 있음(출14:9). 바알의 산당(bamoth Baal) 느보산 근처 요단강 동편 고원 서쪽 경계에 위치한 신전(민22:41;렘32:35). 바알하난(Baal-hanan: 주는 은혜로우심) ① 에돔의 7대왕(창36:38;대상1:49) ② 다윗의 감람나무와 뽕나무를 맡은 게달 사람(대상27:28). 바알하몬(Baak-hamon) 솔로몬의 포도원이 있는 곳으로 상징적인 장소(아8:11). 바알하솔(Baal-hazor: 궁성의 소유자) 에브라임 지방 압살롬의 목장이 있던 곳(삼하13:23). 바알헤르몬(Baal Hermon) 헤르몬산 기슭에 있던 성읍(대상5;23). ‘바알갓’과 동일 지역 추정(수11:17,12:7,13:15) 바알헤르몬산(Baal Hermon) 레바논산 동편 히위 족속이 살던 산(삿3;3) ② ‘바알갓’과 동일함(수13:5). 바예수(Bar-Jesus: 예수의 아들) 구브로에 있는 거짓 선지자 박수. 바울이 서기오 바울에게 전도할 때 방해하다가 바울에게 책망을 받고 소경이 됨(행13:6-11). 바왜(Barvai: 희망자) 유다 사람 헤나닷의 아들. 느헤미야 때에 그일라를 다스렸다(느3:18). 바요나(Bar-Jona:요나의 아들) 시몬 베드로의 별명(마16:17). “예수께서 대답하여 가라사대 바요나 시몬아 네가 복이 있도다 이를 네게 알게 한 이는 혈육이 아니요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시니라”(마16:17) 바우(Pau) 에돔의 수도(창36:39). ‘바이’(대상1:50)로도 표기 되었다. 바울(Paulus: 작은 자) 길리기아의 다소 출생의 유대인. 이름은 ‘사울’이다. 그는 그리스 문화의 교육을 받고, 로마시민권을 가졌으며 고명한 율법박사 가말리엘의 제자가 되었다. 처음에는 열렬한 바리새파로서 그리스도 교도들을 잡으러 다메섹으로 가던 중 신비로운 그리스도의 출현을 경험하고, 3일간 실명 상태가 되어 소명을 받고 사도가 되었다. 3회에 걸친 대전도 행으로, 로마에까지 그 발자취를 남겼다. 그 동안 옥에 갇히는 등 많은 시련을 겪으면서도,이방인의 사도로서의 사명을 다하였으며, 그의 높은 학식이 더욱 빛을 발하여 그리스도교의 기초를 굳히는 데 크게 성공하였다. 바울은 그리스도교의 최대의 전도자였고, 또한 최대의 신학자였으며, 오늘의 그리스도교가 있게 한 그리스도교 형성 사상 가장 중추적 인물이다. 그리스도교의 신학은 그에 의해서 틀이 잡혔으며, 후세에 끼친 영향은 헤아릴 수가 없다. 여러 서신 속에 전개된 그의 사상은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의 신비를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그리스도와 일치하여 살아야 할 우리 인간은 우선 죄 지은 인간으로서 죽었다가, 새로운 인간으로 태어나야 한다고 주장하고, 몸소 그것을 실천하였다. 주후 67년경에 황제 네로에 의해 투옥되어 얼마 지나지 않아 단두대에서 목이 잘리는 순교를 당하였다.
바위(rock) 부피가 아주 큰 돌(렘48;28;눅8;6,23:53;마27;51). 안전한 보금자리(민24;21;시27;5), 구원의 보장(시31;2,71:3)로도 묘사함. "바위 위에 있다는 것은 말씀을 들을 때에 기쁨으로 받으나 뿌리가 없어 잠간 믿다가 시험을 받을 때에 배반하는 자요"(눅8:13) 바위 너구리(rock badger) 야행성 동물(시104:18) 들쥐, 개구리 등을 사녕하여 먹고산다. 몸길이 50-70cm정도이며 몸무게 4-10kg으로 개과 중에 원시종으로 구분된다. 바이(Pai) 에돔왕 하닷의 도성(대상1;50).->바우 바이블(the bible) 성경. 기원전 2천 년대에 지중해 세계에 발달하기 시작한 알파벳이 ‘파피루스‘에 기록되어 그리스 세계에도 전달되면서 ‘책’을 의미하게 되었고, 뒤에 ‘책 중의 책’이라는 뜻에서 ‘성경’을 가리키게 되었다.->성경 바잇(Bajith) 사해 동쪽 디본 근처에 있던 모압 성읍(사15:2). 바지(breeches) 제사장 복장의 하나로 속바지(겔44:18). ‘고의’로도 번역되어 있다(출28:42;레6:10). 바치다(give, offer) 드리다. 갖다 내다(수6:17;신20:11;눅20:25;롬13:7). “가라사대 그런즉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 하시니(눅20:25) 바친 물건(devoted) 여호와를 위하여 봉헌되거나 구별된 물건(수7:1,13,22:20). 개인을 위해 사용할 수 없었다(수6:18). “이스라엘 자손들이 바친 물건을 인하여 범죄하였으니 이는 유다 지파 세라의 증손 삽디의 손자 갈미의 아들 아간이 바친 물건을 취하였음이라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진노하시니라”(수7:1) 바퀴(ring) 돌게 하기 위해 둥근 테 모양으로 만든 물건(잠20:26;출14:25;약3:6). 야고보는 인류의 계승 존속을 ‘생의 바퀴’라고 표현하고 있다(약3:6). 바탕 ① (basis) 물체의 바닥(창30:35) ② (bowshot away) 활을 쏘아 살이 미치는 거리(창21:16). 바트(Bath) 부피를 재는 단위. 22.71리터. 1/10호멜(사5:10).->밧 바티칸 사본(codex Vaticanus) 오늘 가장 권위있는 헬라어 성서사본. 바티칸 도서관에 있다. 바티칸 도서관 소장 No.1209. 기원 1481년경부터 동 도서관에 존재하고, 그 이전의 일은 불명이다. 제4세기의 것으로 추정되는데, 현존 대문자 헬라어 성서 사본 중, 최량 최고의 본문으로 말해진다. 처음에는 완전한 본문이었던 것으로 생각되는데, 현재는 구약이 창1:1-46:28?;시106:138편이 결여되어 있고, 신약은 히9:14이하, 목회서신, 빌레몬 및 계시록이 결여되어 있다. 기호는B, 중립사본을 대표한다. 바하룸(Baharum) 다윗의 30용사 아스마웻의 고향(대상11:33). 일명 ‘바르훔’(삼하23:31). 바핫모압(Pahatt-moab: 모압의 통치자) ① 바핫모압 자손의 선조(스8:4) ② 새 언약에 서명한 사람(느10:14). 아들 ‘핫숩’(느3:11). 바후림(Bahurim: 청년의 마을) 예루살렘 동북의 라스에장비 또는 부게단(삼하16:5,23:31). 박(gourds) 들외(왕상6:18,7:24). 귤 정도의 크기의 열매가 있다. 부조의 모델에 씌어졌다. 요나의 ‘박’ 넝쿨과는 다른 종류의 ‘박’이다.->들외 박격(迫擊, close attack) 바짝 덤비어 함부로 몰아침. 갑자기 침공함(창49:19;시62:3). 박 넝쿨(castor oil plant) 등대풀과에 속하는 아주까리(욘4:9,10). 잎이 넓고 크다(직경 약 1m). 요나에게 좋은 그늘이 되었다가 곧 말랐다고 말해져 있는 식물(욘4:6-8). “여호와께서 가라사대 네가 수고도 아니하였고 배양도 아니하였고 하룻밤에 났다가 하룻밤에 망한 이 박 넝쿨을 네가 아꼈거든”(욘4:10) 박다(drive) 다른 물건에 꽂혀지게 하다(사41:7,40:24;히6:6;골2:7). 박대하다(薄待-, treat) 인정없이 대하다(창31:50). 박멸하다(撲滅-, eradicate) 모조리 없애 버리다(전5:8;렘11:19;시89:23). 박박갈(Bakbakkar: 부지런한 조사자) 레위사람 미가의 아들(대상9:15). 박부갸(Bakbukiah: 여호와가 뵈게 하심) 곡간을 파수하는 아삽의 가족(느11:17,12:9,25). 박북(Bakbuk: 그릇) 바벨론 포로에서 귀환한 느디님 족속의 조상 중 한 사람(스2:51). 박사(博士, wise man) 천문학과 점성술에 종사하던 사람(창41:8;단5:15;마2:1,9). 일명 ‘점성사’. 박사장(博士長, rabmag) 바벨론 사령관의 칭호(렘39:3,13). 박석(薄石, gabbatha) 길이나 뜰에 까는 돌(대하7:3;겔40:17;요19:13). 성전, 궁전의 뜰을 돌을 깔고 역청으로 접착시키는 일이 행해졌다(겔42:3). 박수(magician) 남자무당. 징조를 근거로 앞날에 대해 미리 말하는 사람((레20:27;단1:20;행13:6). ‘술객’(창41:8), ‘요술객’(사19:3)으로도 번역되었다.->박사 “남자나 여자가 신접하거나 박수가 되거든 반드시 죽일지니 곧 돌로 그를 치라 그 피가 자기에게로 돌아가리라”(레20:27) 박수장(chief of the magicians) 꿈 해몽에 가장 뛰어난 사람(단4:9). 다니엘(벨드사살)을 가리킴. 박장(拍掌, clap) 손바닥을 침(욥27:23;애2:15). 박재(雹災, hail disaster) 우박으로 인하여 농작물이 입는 피해(계16:21). 박쥐(bat) 식용금지의 부정한 새(레11:19;신14:18). 암혈과 험악한 바위틈에 숨어사는 음산한 동물이다(사2:20,21). 박탈(剝奪, deprive) 남의 권리나 재물을 강제로 빼앗음(사10:2). “빈핍한 자를 불공평하게 판결하여 내 백성의 가련한 자의 권리를 박탈하며 과부에게 토색하고 고아의 것을 약탈하는 자는 화 있을진저”(사10:2) 박하(薄荷, mint) 방향 식물의 하나(마23:23;눅11:42). 이것은 구약율법 10분의 1 규정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레27:30-33;민18:27-30). 박하다(薄-, stingy) 하찮다. 맛이 좋지 못하다(민21:5). 박한 식물(tasteless food) 맛도 영양가도 없는 형편없는 음식(민21:5). ‘만나’를 가리킨다. 박해(迫害, persecution) 부당한 적의를 가지고 끈질기게 가하는 고통과 괴롭힘(민25:18;렘15:15,17:18). 박해는 신앙을 빼앗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리스도의 능력을 그 안에 깃들게 하여 그리스도의 생명을 나타낸다(벧전4:13,14). 밖(outside) 경계선을 넘어 선 쪽(창15:5,19:17;막7:18;고후12:3). “예수께서 이르시되 너희도 이렇게 깨달음이 없느냐 무엇이든지 밖에서 들어가는 것이 능히 사람을 더럽게 하지 못함을 알지 못하느냐”(막7:18) 반 ① (半, half) 둘로 똑 같이 나눈 것의 한 부분(출38:26;창24:22;계11:9,11) ② (班, class) 의도적으로 조직된 사람들의 집단(대상27:2,27:4). 반구(班鳩, turtledove) 산비둘기((아2:12;렘8:7;눅2:24). ‘산비둘기’(창15:9;레1:14)로도 번역되어 있다. 가난한 사람들은 산비둘기와 어린 비둘기를 희생 제물로 드렸다. 반달(半-, half-moon) 반쯤 이지러진 달(사3:18). 반대(反對, opposite) 서로 틀어져 등지게 된 상태(스10:15;욥15:13;막9:40;마12:30). “우리를 반대하지 않는 자는 우리를 위하는 자니라”(막9:40) 반드시(certainly) 틀림없이. 꼭(창9:5;민26:65;마5:18;롬8:13).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천지가 없어지기 전에는 율법의 일점 일획이라도 반드시 없어지지 아니하고 다 이루리라”(마5:18) 반듯하다(straight) 비뚤지 않고 곧다(겔40:47,43:17;계21:16). 반렬(班列, rank, grade) 반열. 신분 등급의 차례(대하23:14). 반분(半分, dividing into halves) 반으로 나눔(출21:35;민31:27). 반삼위일체론(半三位一體論, antitrinitarianism) 기독교의 삼위일체론을 부인하는 것에서만 공통점을 지니는 아주 상이한 몇가지 주장들에 붙여진 보편화된 명칭이다. 반석(磐石, rock) 넓고 편편하게 된 아주 든든한 바위((출17:6;사44:8;마16:18,7:25). 힘, 확고부동, 안전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종종 이스라엘 백성의 보호자로서의 여호와를 가리켰다(시18:2). ‘신령한 반석’이 그리스도 자신을 가리킨다(고전10:4). “또 내가 네게 이르노니 너는 베드로라 내가 이 반석 위에 내 교회를 세우리니 음부의 권세가 이기지 못하리라”(마16:18) 반 세겔(half shekel) 두 드라크마의 가치에 해당하는 헬라 동전. 성전 유지를 위해 모든 남자들이 해마다 반(半) 세겔의 세를 내도록 정해진 것은 모세 때였다(출30:11-16). 예수님 당시에는 세겔이라는 화폐가 주조되지 않았기 때문에 헬라 화폐인 디드라크마(반세겔)를 성전세로 사용하였다(마17:24).->드라크마 반수(半數, half the number) 어떤 수효의 반(출30:23), 반시(半時, half an hour) 한 시간의 절반. 잠깐(계8:1). 반아리우스주의(semi-arianism) 약 주후 356년 이후 앙키라의 바실리우스 주변에 운집하여 그리스도의 성자의 자격에 관한 정통교리와 아리우스주의에 있어서 중간 입장을 취하였던 신학자들의 입장을 가리킨다. 반역(叛逆, treason, rebellion) 나라와 겨레를 배반함(단9:5;렘11:9;삼하15:12). 반열(班列, rank, grade) 신분 등급의 차례(대상6:32,28:21;왕하11:15).->반차 반유대주의(anti-semitism) 유대인을 혐오하여 평등한 권리부여를 거부하는 운동 또는 이념. 기독교가 로마제국의 국교가 된 후부터 유대인은 여러 가지 형태의 박해를 받아왔으나, 근대적인 개념의 반유대주의는 19세기 후반 독일에서 발생되어 제정 러시아 등으로 퍼져나갔다. anti-semitism이라는 용어는 유대인이 유럽에 거하는 유일한 셈족이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 반대의 원인에는 종교적 민족적 사회적 경제적 등 제 요인이 있다. 프랑스의 드레퓌스 사건, 러시아의 포그롬, 나찌의 유대인 대량학살 등이 대표적인 실례다. 지금도 아랍권에는 반유대주의가 팽대해 있다. 반율법주의(反律法主義, antinomianism) 인간이 구원을 얻기 위해서 어떤 행동도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여 율법에 전혀 얽매이지 않고 마음대로 절제 없이 살려는 태도이다. 반일경(半日耕, about half acre) 반날 갈이, 한나절 갈이(삼상14:14) 반일경 지단(半日耕 地段, half a furrow's length in an acre of land) 한나절 동안에 갈 수 있는 밭의 면적(삼상14:14). 반장(班長, squad, leader) 반의 대표(대상26:12,27:2,28:1). 반죽(dough) 가루에 물을 부어 이겨놓은 물건(출12:39;레6:21;왕하20:7). 반죽 그릇(kneading bowl) 나무로 만든 휴대용 반죽 그릇(출8:3;신28:5,17). 가루와 물을 섞어서 이 그릇에서 반죽하여 발효시켰다. 반지(斑指, ring) 손가락에 끼는 고리 모양. 가락지(에8:2,8;창41:42). 반지성주의(反知性主義) 극단적 보수주의자 혹은 근본주의자들이 자유주의 신학사상을 폄하시키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용어로, 그들은 자유주의 신학사상이 하나님의 계시의 의미를 최소화하고 인간의 삶의 경험을 중시한 "반 지성주의"라고 주장하고 있다. 반 지파(半支派, half-tribe) 한 지파의 절반을 뜻한다(민34:14;수22:10,11).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나안땅에 진입하기 전, 모압땅(가나안의 동쪽편 건너 땅)을 지날 때 르우벤 지파와 갓 지파 사람들이 여기에서 머물겠다고 해서 그 땅을 배분 받게 된다. 이때 므낫세 지파의 일부(반)도 동참하게 된다. 그리하여 모압 땅에는 두 지파 반이 배분 받고 가나안 땅은 아홉 지파 반이(므낫세의 나머지 반 포함) 배분 받게 된다. 그리고 12지파를 언급할 때 요셉 대신 요셉의 아들인 므낫세와 에브라임이 포함된 이유는 제사장의 업무를 위해 하나님이 특별히 구별하신 레위 지파를 제외했기 때문이다. 반차(班次, in turn) 신분 서열. 성전 봉사 순서(시110:4;대상24:19;히6:20,5:10). 반펠라기우스주의(semi-pelagianism)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자유의지에 대한 양 극단의 이론인 어거스틴주의와 펠라기우스주의의 중도적인 입장을 가리키는 말이다. 인간은 자기의 자유의지로서 하나님께로 돌아설 수 있고, 그 후에 하나님이 그 새 생명에게 계속 살 수 있는 은혜를 계속해서 부어주신다고 주장하였다. 반포 ① (斑布, skillfully woven tunic, coat of checker work) 세마포로 짠 제사장의 무늬 속옷. 짙은 남빛의 실과 흰 실을 섞어 짠 폭이 좁은 무명(출28:4,39) 이 속옷은 가는 베실로 짜서(레8:7) 만든 속옷이다(출28:39). 그 속옷에는 띠가 있어서 띠를 띠라고 했다(출39:27-29). 이 옷의 특징은 통으로 짠 것이며, 반드시 이것을 입고 그 위에 겉옷을 입게 되었다. 또 대제사장만이 아니라 제사장도 입게 되어 있었다(출39:27) ② (頒布, promulgation) 두루 알리기 위하여 세상에 널리 펴서 퍼뜨림(신4:13;출34:6;눅8:1;롬2:21). “여호와께서 그 언약을 너희에게 반포하시고 너희로 지키라 명하셨으니 곧 십계명이며 두 돌판에 친히 쓰신 것이라”(신4:13) 반포자(頒布者, herald) 널리 퍼뜨리는 사람(딤후1:11). “내가 이 복음을 위하여 반포자와 사도와 교사로 세우심을 입었노라”(딤후1:11) 반항(反抗, opposition) 반대하여 대듦(시78:40,56). 받다(receive, accept) 주는 것을 들여 가지다(창3:14,17;고전3:8;마10:8). “심는 이와 물주는 이가 일반이나 각각 자기의 일하는 대로 자기의 상을 받으리라”(고전3:8) 받들다(respect) 공경하여 높이 모시다(창40:13;민18:32;눅18:17;마4:6).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누구든지 하나님의 나라를 어린 아이와 같이 받들지 않는 자는 결단코 들어가지 못하리라 하시니라”(눅18:17) 받침(support, prop) 물건의 밑바닥을 받치어 괴는 물건(출30:18,26:37;렘52:20). 발(足, foot) 동물의 다리의 가장 아래 부분(창49:33;출3:5;히12:13;고전12:21). 몸을 지탱하기도 하고, 이동 운동을 하는데 쓰인다. “하나님이 가라사대 이리로 가까이 하지 말라 너의 선 곳은 거룩한 땅이니 네 발에서 신을 벗으라”(출3:5) “너희 발을 위하여 곧은길을 만들어 저는 다리로 하여금 어그러지지 않고 고침을 받게 하라”(히12:13)
발가락(toe) 발 앞쪽 끝에 따로 갈라진 부분(단2:41,42). 발각(發覺, detection) 숨겼던 일이 드러남. 들킴(사16:3), 발견(發見, discovery) 알려지지 않은 것을 먼저 찾아냄(창44:17,31:32;마13:44,고후5:3). “천국은 마치 밭에 감추인 보화와 같으니 사람이 이를 발견한 후 숨겨 두고 기뻐하여 돌아가서 자기의 소유를 다 팔아 그 밭을 샀느니라”(마13:44) 발교(醱酵, kneading bowis) ‘발효’의 본디말. 누룩을 넣어 부풀게 되다(출12:39,34;호7:4). 발꿈치(heel) 발 뒤쪽의 부분(창25:26). 야곱이 에서의 발꿈치를 잡고 태어나서 그 이름이 ‘발꿈치를 잡은 자’라는 뜻의 ‘야곱’으로 불렀다.
발뒤꿈치(heel) 발의 발바닥을 뺀 뒤쪽 부분(욥18:9;호12:3).
발등상(footstool) 발판(시110:1;대하9:18;행7:49;히1:13). 좌석 앞에 놓여진 발 올려놓는 대를 가리킨다. 전쟁에서 승리한 왕은 전승의 표적으로 적국의 왕을 발등상처럼 발로 밟는 관습이 있었다. 따라서 승리와 복종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고전15:25-27에서는 죽음(사망)도 그리스도의 발아래 두어진다. “여호와께서 내 주에게 말씀하시기를 내가 네 원수로 네 발등상 되게 하기까지 너는 내 우편에 앉으라 하셨도다”(시110:1) “주께서 가라사대 하늘은 나의 보좌요 땅은 나의 발등상이니 너희가 나를 위하여 무슨 집을 짓겠으며 나의 안식할 처소가 어디뇨”(행7:49) 발디(Palti: 구원받은 자) ① 모세가 바란 광야에서 가나안을 정탐하기 위하여 보낸 12인의 정탐군 중 베냐민 지파 대표자(민13:9) ② 갈림 사람 라이스의 아들. 사울이 다윗에게 준 딸 미갈을 뺏어 이 사람에게 주었다(삼상25:44;삼하3:15) ③ (Paltite) 다윗의 용사 헬레스에게 붙여진 명칭(삼하23:26). 일명 ‘발론’(대상27:10). 발디엘(Paltiel: 하나님은 구원하셨다) ① 잇사갈 지파의 족장이며 잇산의 아들(민34:26) ② 사울의 딸 미갈의 남편(삼하3:15). ‘발디’(삼상25:44)와 동일인. 발라(Balah) 시므온 지파에서 분배된 팔레스타인 남부 지방의 성읍(수19:3). 일명 ‘빌하’(대상4;29). ‘바일라’(수15:29). 발라단(Baladan: 하나님은 아들을 주셨다) 유다왕 히스기야 시대에 바벨론 왕 므로닥발라단의 아버지(사39:1;왕하20:12). 발락(Palak: 짓밟는 자) 십볼의 아들이며 모압왕. 발람을 매수하여 이스라엘을 저주했던 자(민22:-;수2:9;삿11:25,6:5;계12:14) 발랄(Palal: 하나님께서 결정하셨다) 우새의 아들로 예루살렘 동벽을 개축한 사람(느3:25). 발람(Balaam: 백성을 파멸시키는 자) 베돌성 아몬 강변에 사는 브올의 아들로 선지자(민22:5).불의의 삯을 탐하는 불법의 선지자, 이스라엘 백성에게 올무를 놓아 우상숭배와 음행을 하게 한 거짓 선지자(민31:16;벧후2:15-22;유1:11;계2;14). 발람의 교훈(-敎訓, teaching of Balaam) 세상과 타협하면 죄를 짓게 되는 것(계2:14). 발람의 길(way of Balaam) 재물에 눈이 어두워 이스라엘을 저주하려한 사람의 생활(벧후2:15). 발론(Pelonite) 웃다 남방 헤브론과 브엘세바의 중간 위치의 작은 마을(대상27:10). 일명 ‘블론’(대상11:27), ‘발디’(삼하23:26). 발루(Pallu: 구별된) 르우벤의 둘째 아들로 그 지파 족장 중의 한 사람(출6:14;민26:8;대상5:3). 발루 가족(-家族, palluites) 르우벤의 아들 발루(창46:9)에서 비롯된 가족(민26:5). 발리다(anointed) 묻히게 되다(민3:3;슥4:14). 발명(發明, defence) 무죄를 변명하여 밝힘(행19:33;고전9:3). 발목(ankle) 다리와 발 사이의 관절 부분(창49:6;겔47:3;행3:7). 발목 고리(bangle, anklets) 아기죽 걸음에 균형 잡히게 하는 발목 장신구(민31:50;사3:18). 발목 사슬(armlets) 발좁은 걸음을 하도록 고안된 목 장신구(사3:20). 발바닥(paw) 발아래 쪽의 편평한 부분(수1:3,3:13;신11:24). 몸의 시작이나 끝(사1;6), 정복(왕상5;3) 등의 의미로 인용됨. “온 땅의 주 여호와의 궤를 멘 제사장들의 발바닥이 요단 물을 밟고 멈추면 요단 물 곧 위에서부터 흘러내리던 물이 끊어지고 쌓여 서리라”(수3:13) 발분(發憤, become angry) 화를 냄(시85:5). “주께서 우리에게 영원히 노하시며 대대에 발분하시겠나이까”(시85:5) 발삼나무(mulberry trees: 방울져 떨어지다) 버들과의 낙엽교목으로, 산지에 자생하여 높이 15m에 달하고, 바람에 잘 동요하므로 ‘고리버들’이라는 이름을 얻었다(삼하5:23,24;대상14:14,15). 한글개역에서는 ‘뽕나무’로 번역하고 있다 발생(發生, generation) 생겨남(레13:14;사61:11;욥14:2). 영원하신 성자(로고스, 혹은 삼위일체의 제2위)와 성부의 관계를 묘사하기 위하여, 또는 '독생하신'(only begotten)의 의미를 설명하기 위하여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신학 전문용어이다. 이는 로고스가 성부의 본질(essence)과 끊임없이 교통하고 있는 행동을 나타낸다고 한다. 발생은 의도되거나 자발적인 행동이 아니고 필연적인 것으로 이해된다. 발설(發說, announce) 말을 입 밖에 냄(욥10:1). 발소리(footsteps) 걸음을 걸을 때 발이 땅에 닿아 나는 소리(왕상14:6;왕하6:32). 발언(發言, said) 말을 함(욥32:6). 발원(發源, fountainhead) 흐르는 근원(창2:10). 발육(發育, make grow) 자라서 크게 됨(시92:12;사17:11). 발자국(footmark) 발로 밟은 곳에 남아있는 자국(신2:5). 발자취(footprint) 발로 밟은 흔적(욥13:27;아1:8;호6:8). 발출(拔出, procession) 빼내어 나오게 함. ‘발출’이라는 용어는 성자의 유래와 성령의 유래를 구분하기 위하여 성령에만 사용된다. 성자는 ‘나셨고’ 혹은 ‘능동적으로 발생하셨고’, 성령은 ‘수동적으로 돌출’(passive spiration)하셨다. 성자가 ‘나셨기’ 때문에 성령은 ‘발출’이라는 단어로 표현할 수 있는 단 하나의 위격이다. 발치(feet) 누울 때 발이 가는 쪽(룻3:4,7,8). 발톱(claw) 발가락 끝을 덮어 보호하는 단단한 부분(삼상17:37;단4:33). 발포(發布, promulgate) 세상에 널리 알림(사10:1), 발하다(發-, originate) 생겨서 드러나다(창30:2;출4:6;레13:39). 발행(發行, depart. journey) 길을 떠나다(출12:37;민33:14;왕상11:18). 밝다(bright) 환하다. 잘 알다(창3:5,7;눅11:34;마6:22). “네 몸의 등불은 눈이라 네 눈이 성하면 온 몸이 밝을 것이요 만일 나쁘면 네 몸도 어두우리라”(눅11:34) 밝히(light) 밝게(대하26:5;삼상12:17;골2:15;딤전5:25). “정사와 권세를 벗어버려 밝히 드러내시고 십자가로 승리하셨느니라”(골2:15) 밟다(step) 발을 위에 대고 디디다(수3:13;신1:36;마5:13;7:6). 밤(夜, night) 보통 해가 진 뒤로부터 해가 뜨기 전까지의 사이(창1:5,2:5,16;롬13:12;눅2:8). 구약에서는 밤은 삼경, 즉 초경(애2:19), 이경(삿7:19), 새벽(출14:24)으로 나뉘고, 신약에서는 밤을 4구분하였다. ‘저물 때’(밤 6시부터 9시까지), ‘밤중’(밤 9시부터 12시까지), ‘닭 울때’(밤 12시부터 3시까지), ‘새벽’ 또는 ‘이른 아침’(밤 3시부터 6시까지)로 구분하였다(막13:35). 밤은 빛이신 하나님께서 거스리는 것으로서, 죽음(9:4), 또는 죄(롬13:12;살전 5:5-7)의 상징으로 되고, 사단이 다스리는 세계를 상징하고도 있다(엡6:12). 그러나 이것은 예수 그리스도의 날의 출현에 의해 종식된다(롬13:12;살전5:5-7). “빛을 낮이라 칭하시고 어두움을 밤이라 칭하시니라 저녁이 되며 아침이 되니 이는 첫째 날이니라”(창1:5) “밤이 깊고 낮이 가까왔으니 그러므로 우리가 어두움의 일을 벗고 빛의 갑옷을 입자”(롬13:12) 밤나무(teil tree) 참나무과 낙엽 교목. 열매는 밤이고 건축자재로 쓰임(사6:13). 밤낮(night and day) 밤과 낮(삼상25:16;에4:16;마12:40;눅18:7). “요나가 밤낮 사흘을 큰 물고기 뱃속에 있었던 것 같이 인자도 밤낮 사흘을 땅속에 있으리라”(마12:40) 밤빌리아(Pamphylia: 잡종) 남쪽 해안 루기아와 길리기아 사이 지역(행 13:13,14:25,2:10). 밤 사경(四更, fourth watch of the night) 신약 시대의 구분으로 새벽 3시부터 해뜰 때까지의 동안(마14:25;막6:48). “밤 사경에 예수께서 바다 위로 걸어서 제자들에게 오시니”(마14:25) 밤사이(night time) 밤이 지나는 동안.(욥34:25). 밤중(midnight) 깊은 밤(출12:29;삿16:3;막13:35;행16:25). “그러므로 깨어 있으라 집 주인이 언제 올는지 혹 저물 때엘는지, 밤중엘는지, 닭 울 때엘는지, 새벽엘는지 너희가 알지 못함이라”(막13:35) 밤 초경(初更, watches of the night begin) 구약 시대 밤의 삼경의 최초의 시각(애2:19). 오후 6-10시에 해당된다. 밥(food, bread) ① (食)곡식을 익힌 음식(민14:9;욥20:2;고전3:23). 식물(창1;29), 떡(창14:18), 양식(대하11:11)과 같은 말. ② 동물의 먹이(신28:26;시63:10;겔34:8). “오직 여호와를 거역하지 말라 또 그 땅 백성을 두려워하지 말라 그들은 우리 밥이라 그들의 보호자는 그들에게서 떠났고 여호와는 우리와 함께 하시느니라 그들을 두려워 말라 하나”(민14:9) 밥상(-床) 밥 먹을 때 음식을 차려 놓는 상(시69:22;단11:27;롬11:9). ‘밥상이 올무’(롬11:9)란 향락의 식탁을 베풀고 즐길 때 하나님께서 심판하심을 묘사한 것이다. 밧(bath: 딸) 액체량의 단위(겔45:11,14;왕상7:26). ‘1 밧’은 1 에바, 1/10 고르, 약 22.7리터 정도 되는 양을 말한다. 성경에 기름 ‘백 말’이라고 번역된 것은 원문에는 기름 ‘백 밧’이라고 되어있다(눅16:6). 밧단(Paddan: 평야) 야곱이 머물렀던 곳(창48:7). '밧단아람‘의 약칭(창25;20). 밧단아람(Paddan-aram: 아람평원) 아브라함의 친척이 살고 있던 하란 부근(창28:2,31:18,35:9,46:15). 밧모(Patmos : 송진) 소아시아의 카리아 서편에 있는 한 섬. 사도 요한은 이곳에 유배되어 ‘요한계시록’을 기록하였다(계1:9-11). 밧세바(Bathsheba: 맹약의 여자) 헷 사람 우리야의 아내(삼하11:3,12:24). 다윗 왕이 이 여인과 사랑에 빠졌는데, 밧세바가 임신하게 되자 이 여인의 남편인 우리아를 최전방으로 보내 죽게 만들었다(삼하11:2-21). 그리고 나서 그녀는 왕의 부인이 되었으나, 그들의 간음으로 인하여 임신하게 된 아이는 죽어버렸다(12:15-23). 그 후 그녀는 네 아들인 시므아와 소밥과 나단과 솔로몬의 어머니가 되었다(대상3:5;삼하3:5). 밧수아(Bath-shua: 부의 딸) ① 엘리암의 딸로, 밧세바와 동일 인물(대상3:5) ② 가니안 여인으로 유다의 부인이며, 에르와 오난과 셀라의 어머니(창38:2;대상2:3). 방(房, room) 사람이 거처하기 위하여 집 안에 만들어 놓은 칸(창24:31;느13:5,7). 방관(傍觀, standing by idly) 함께 하지 않고 곁에서 구경만 함(옵1:12,13;합1:13). 방도(方途, means) 일을 해 나가는 방법과 도리(빌1:18). “그러면 무엇이뇨 외모로 하나 참으로 하나 무슨 방도로 하든지 전파되는 것은 그리스도니 이로써 내가 기뻐하고 또한 기뻐하리라(빌1:18) 방망이(hammer) 두드리거나 다듬는데 사용하는 도구(삿4:21;잠25:18;왕상6:7). 하나님의 말씀(렘23:29)과 권세(렘50:23)의 비유에 씌어 있다. ‘메’(사44;12), ‘장도리’(렘10:4)로도 번역됨. 방면(方面, direction) 방향. 쪽(렘31:39). 방문(訪問, visit) 남을 찾아가 봄(왕하8:29;대하22:6;행15:36). 방백(方伯, prince, commander) 지도적 위치에 있는 사람. 지방장관(수22:14;벧전2:14;고후11:32). 방법(方法, means) 수단. 수법(출30:32,37;사28:26). “네가 만들 향은 여호와를 위하여 거룩한 것이니 그 방법대로 너희를 위하여 만들지 말라”(출30:37) 방불(彷佛, like) 같게 느낄 정도로 거의 비슷함(히7:3,11:12). “아비도 없고 어미도 없고 족보도 없고 시작한 날도 없고 생명의 끝도 없어 하나님 아들과 방불하여 항상 제사장으로 있느니라”(히7:3) “이러므로 죽은 자와 방불한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하늘에 허다한 별과 또 해변의 무수한 모래와 같이 많이 생육하였느니라”(히11:12) 방비(防備, defend) 미리 막아 지킴(왕하6:10;렘51:12;겔13:5). 방석 ① (方席, cushion, covering) 깔고 앉는 네모난 작은 자리(잠31:22;암3:12). ‘요’(잠7:16)로도 번역되어 있다 ② (magic band)마술을 행하는 여자가 손에 감은 끈(겔13:18,20) ③ (放釋, release) 용서하여 놓아줌. 갇힌 자를 풀어줌(시105:20), 방성대곡(放聲大哭, clying out) 큰 소리로 목을 놓아 슬피 움(창27:34,45:2,21:16). 방술(方術, wizardry, charmer) 방법과 기술. 교묘하게 속이는 기술(시58:5;전10:11). ‘요술’(사3:3)로도 번역되어 있다. 방어(防禦, defense) 공격을 받고 물리치기 위한 모든 수단(왕하11:6;욥13:12). 방언(方言, glossolalia, tongue) 습득한 일이 없는 언어를 무아의 상태에서 말하는 현상(창10:5;왕하18:28;행2:4). 성령의 은사로 두 가지 종류가 있다.①다른 나라의 언어를 의미한다(창10:5;왕하18:26;스4:7;행2:4). ②사람들은 알아들을 수 없고 오직 하나님만 알아들으실 수 있는 방언이 있다(고전14:2). “방언을 말하는 자는 사람에게 하지 아니하고 하나님께 하나니 이는 알아듣는 자가 없고 그 영으로 비밀을 말함이니라”(고전14:2)
방언 다른 민족(-民族, people of foreign tongue) ‘애굽’을 가리킨다(시114:1). 방울 ① (bell) 속이 비게 만든 원통형 속에 돌이나 금속 등의 알을 넣어 흔들면 소리가 나게 된 물건(출39:25,26;슥14:20). 제사장이 성소에서 몸가짐을 조심하도록 하기 위하여 옷에 달아놓았다(출28:33-35) ② (drop) 둥글둥글하게 맺힌 액체의 덩어리(사40:15;아4:11;눅22:44). “예수께서 힘쓰고 애써 더욱 간절히 기도하시니 땀이 땅에 떨어지는 피 방울 같이 되더라”(눅22:44) 방임(放任, non interfere) 돌보지 않고 그대로 내버려 둠(엡4:19), 방자(放恣, presumption) 버릇없고 건방짐(출32:25;잠14:16;신18:22). “지혜로운 자는 두려워하여 악을 떠나나 어리석은 자는 방자하여 스스로 믿느니라”(잠14:16) 방장(方將, just) 이제 곧. 지금 당장(마9:18). 방종(放縱, self indulgence) 막 놀아남(민15:39). 방주(方舟, ark) 하나님께 은혜 입은 의인 노아가 하나님의 명에 따라 대홍수에서 구원되기 위해 만든 네모진 배(창6:14,8:19;벧전3:20;히11:7). 노아와 그의 가족, 여러 종류의 동물이 이 방주에 의해 구원되었다. 노아는 장차 올 홍수와 인류의 멸망에 대해 하나님의 경고를 받고 이를 믿어 방주를 만들었다(히11:7). 그 믿음 때문에 하나님은 노아를 의롭다 하셨고, 의의 후계자가 되었다(롬3:22;4:5)->노아의 방주 “그들은 전에 노아의 날 방주 예비할 동안 하나님이 오래 참고 기다리실 때에 순종치 아니하던 자들이라 방주에서 물로 말미암아 구원을 얻은 자가 몇 명뿐이니 겨우 여덟 명이라”(벧전3:20)
방책(方策, devises ways) 방법과 꾀(삼하14:14;삿20:7;눅22:2). 방축(防築, dike, dam) 물이 넘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쌓은 뚝. 저수지(잠17:14). 방축물(防築水, collecting water) 줄어들지 않게 막아둔 물(레11:36). 방침(方針, some advice) 사업이나 행동 등의 지침(출18:19;눅19:48). 방탕(放蕩, dissipate, greed) 술과 여자에 빠져 행실이 나쁨(잠28:19,12:11;엡5:18;눅21:34). “술 취하지 말라 이는 방탕한 것이니 오직 성령의 충만을 받으라”(엡5:18) 방패(防牌, shield) 고대 근동의 전쟁에 있어서의 가장 중요한 방어무구(삼하22:31;대하14:8;엡6:16). 왕에 의한 보호(시84:9,89:18), 하나님의 보호(창15:1;신33:29)에 대해 씌어져 있다. “하나님의 도는 완전하고 여호와의 말씀은 정미하니 저는 자기에게 피하는 모든 자에게 방패시로다”(삼하22:31) 방해(妨害, make afraid) 훼방. 남의 일이 잘못되게 함(스4:4). 방향(方向, break) 나아가는 목표. 방위(신1:7). 방황(彷徨, wander) 정처 없이 헤매며 돌아다님(렘31:22;애4:14,15). 밭(田, field) 물대지 않고 식물을 가꾸는 땅(룻2:3;창4:2;마13:38;고전3:9). 밭에 대한 애착을 더하게 한 이유는, 기업의 땅에는 선조의 무덤이 있음에서였다(수24:30,32;삼상25:1;왕상2:34). “밭은 세상이요 좋은 씨는 천국의 아들들이요 가라지는 악한 자의 아들들이요”(마13:38) 밭고랑(furrow) 밭이랑 사이의 흠이 진 곳(시65:10). 파종 후에 비가 밭고랑을 적시는 것은 축복의 표였다. 밭머리(end of field) 밭이랑의 양쪽 끝이 되는 부분(창23:9). 밭이랑(plowed field) 갈아 놓은 밭의 한 두둑과 한 고랑을 합하여 일컫는 말(호10:4,12:11). 배 ① (腹, stomach, belly) 가슴과 골반 사이의 부분(창3:14;레11:42;요7:38;행1:18). 태(룻1:11;행3:2), 탐욕을 채우는 곳(욥20:20;롬16:18;빌3:19)② (船, ship) 선박. 물 위에 떠다니게 만든 물건(대하9:21;창49:13;마14:33;행14:26) ③ (倍, double) 갑절(창4:24,43:12;마13:8,19:29). “나를 믿는 자는 성경에 이름과 같이 그 배에서 생수의 강이 흘러나리라 하시니(요7:38) 배고프다(hungry) 뱃속이 비어서 먹고 싶은 느낌이 간절하다(잠25:21;빌4:12). “네 원수가 배고파하거든 식물을 먹이고 목말라하거든 물을 마시우라”(잠25:21) 배교(背敎, apostasy) 살아계신 하나님과의 교제를 끊어버리는 것. 세례를 받은 자가 공언한 서약을 공공연하게 버림으로써 신앙을 전적으로 배척함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불신앙을 위하여 기독교를 포기하는 것을 말한다. 배교자(背敎者, apostate) 다른 종교나 이념을 믿기 위해 스스로 혹은 강제로 자신이 믿고 있는 종교를 등지는 자를 말한다(딤전4:1;히6:6). “그러나 성령이 밝히 말씀하시기를 후일에 어떤 사람들이 믿음에서 떠나 미혹케 하는 영과 귀신의 가르침을 좇으리라 하셨으니”(딤전4:1) 배꼽(navel) 인체의 배 한가운데 있는 탯줄을 끊은 자리(아7:2;겔16:4). 배꼽줄(navel cord) 아기와 엄마가 연결된 탯줄(겔16:4). 배다 ① (soak into) 스며들다(욥15:35) ② (conceive) 뱃속에 새끼를 가지다(창31:10,30:38;마24:19,눅11:27). 배도(背道, rebellion) 도리에 어그러짐(살후2:3). 배도자(背道者, faithless men) 도리에 어그러진 자(시101:3). “나는 비루한 것을 내 눈앞에 두지 아니할 것이요 배도자들의 행위를 미워하니 이것이 내게 붙접지 아니하리이다”(시101:3) 배반(背反, betrayal) 믿음을 저버림(창17:14;잠15:10;눅8:13;딤전5:8). “바위 위에 있다는 것은 말씀을 들을 때에 기쁨으로 받으나 뿌리가 없어 잠간 믿다가 시험을 받을 때에 배반하는 자요”(눅8:13) 배부르다(full) 많이 먹어 배가 불룩하다. 넉넉하여 아쉬움이 없다(신14:29;잠27:7;빌4:12;눅9:17). “내가 비천에 처할 줄도 알고 풍부에 처할 줄도 알아 모든 일에 배부르며 배고픔과 풍부와 궁핍에도 일체의 비결을 배웠노라”(빌4:12) 배부름(full) 많이 먹어 배가 불룩함(전5:12;호13:6;눅6:21). “이제 주린 자는 복이 있나니 너희가 배부름을 얻을 것임이요 이제 우는 자는 복이 있나니 너희가 웃을 것임이요”(눅6:21) 배상(賠償, reparation) 남에게 기친 손해를 물어 줌(출22:3,7,21:19). 배석자(陪席者, conferee) 자리를 함께 한 자(행25:12). 배설(排設, held a great feast) 음식을 차려 놓음(창21:8;삿14:10;눅14:13,16). “잔치를 배설하거든 차라리 가난한 자들과 병신들과 저는 자들과 소경들을 청하라”(눅14:13) 배설물(排泄物, dung, refuse) 몸밖으로 내보내는 찌끼. 쓸데없거나 해로운 물질(신23:13;빌3:8). 배식(配食, distribution of food) 식사를 따로따로 날라 놓음(창43:32). 배약(背約, faithless) 약속을 어김. 하나님 말씀에 불순종함(레26:25;롬1:31). 배역(背逆, spoil, against) 배반하고 거스리는 일(수22:18;렘3:22). 올바른 관계에서 등을 돌리는 일을 말한다(시5:10). 배우다(learn, take lessons) 가르침을 받다(신17:19,5:1;빌4:9;딛3:14). “너희는 내게 배우고 받고 듣고 본 바를 행하라 그리하면 평강의 하나님이 너희와 함께 계시리라”(빌4:9) 배종(陪從, attendance) 모시고 따라감(대상27:32). 돌보는 자. 가정교사라는 뜻이다. 배척(排斥, exclusion) 물리쳐 버림(잠18:1;왕하18:7;막6:3;마13:57). 배타주의(排他主義, exclusivism) 하나님만이 유일신이고 참 신이다. 따라서 오직 십자가 복음을 통해서만 구원이 가능하며 다른 종교는 죄인의 구원에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기초적인 기독교 신앙관을 지칭한다. 배필(配匹, helper) 부부로서의 짝(창2:18). “여호와 하나님이 가라사대 사람의 독처하는 것이 좋지 못하니 내가 그를 위하여 돕는 배필을 지으리라 하시니라”(창2:18) 백(百, hundred) 10의 열 곱절(창17:17,6:3;눅8:8;요19:39). “더러는 좋은 땅에 떨어지매 나서 백배의 결실을 하였느니라 이 말씀을 하시고 외치시되 들을 귀 있는 자는 들을찌어다”(눅8:8) 백곡(百穀, all kind of grain) 온갖 곡식(시144:13). 백골(白骨, skeleton) 죽은 사람의 남은 흰 뼈(겔32:27). 백관(百官, princes) 모든 벼슬아치(시105:22). 백년(百年, one hundred years) 한 해의 백 배(창15:13;삿11:26;행7:6). “하나님이 또 이같이 말씀하시되 그 씨가 다른 땅에 나그네 되리니 그 땅 사람이 종을 삼아 사 백년 동안을 괴롭게 하리라 하시고”(행7:6) 백단목(柏檀木, almug) 나무가 붉고 단단한 상록 항목(왕상10:12;대하2:8,9:10). 백마(白馬, white horse) 상징적인, 초자연적인 말(슥6:3,1:8;계19:11,6:2). 승리의 상징이다. “또 내가 하늘이 열린 것을 보니 보라 백마와 탄 자가 있으니 그 이름은 충신과 진실이라 그가 공의로 심판하며 싸우더라”(계19:11) 백마노(白瑪瑙, agate) 대제사장의 흉패의 셋째 줄에 단 보석(출28:19,39:12). 백목(白木, white cotton) 애굽에서 재배된 식물의 섬유로서 짠 천(사19:9). ‘무명’을 말한다. 백발(白髮, gray hair) 노인의 흰머리(레19:32;잠20:29;사46:4). ‘백수’(시71:18)로도 번역된다. “너는 센머리 앞에 일어서고 노인의 얼굴을 공경하며 네 하나님을 경외하라 나는 여호와니라”(레19:32) “젊은 자의 영화는 그 힘이요 늙은 자의 아름다운 것은 백발이니라”(잠20:29) 백발노옹(白髮老翁, old man) 센머리의 늙은 할아버지(대하36:17), 백부장(百夫長, centurion, commanders of hundreds) 600 명 단위로 된 로마의 대대는 다시 100 명 단위의 부대로 조직하는데 이 100 명을 거느린 지휘자(출18:21;신1:15;행10:1;마8:13). 백부장은 최 일선의 지휘관이다. 백색(白色, white) 바사궁전의 순백으로 만든 천(에1:6). 백석 ① (白石, marble) 흰색의 돌(에1:6) ② (百石, hundred measure) 약 22000리터의 용량이다(눅16:7). 백성(百姓, people) 이스라엘 국민으로서의 백성(창9:19;출1:20), 이스라엘 백성과 구별된 외국인으로서의 백성(신32:8), 계급적으로 구별된 서민으로서의 백성(렘21:7), 여러 나라 백성(창10:5), 열국 백성(슥8:23), 주의 백성(신26:15;벧전2:9) 등 여러 가지로 씌어져 있다. “오직 너희는 택하신 족속이요 왕 같은 제사장들이요 거룩한 나라요 그의 소유된 백성이니 이는 너희를 어두운데서 불러내어 그의 기이한 빛에 들어가게 하신 자의 아름다운 덕을 선전하게 하려 하심이라”(벧전2:9) 백세(百歲, hundred years of age) 나이 백살(창17:17;사65:20;롬4:19). 백수(白首, white hair) 허옇게 센머리(시71:18). ‘백발’(신32:25;잠16:31;사46:4)로 번역됨. 백숙모(伯叔母, uncle's wife) 백.숙부의 아내(레18:14,20:20). 백숙부(伯叔父, uncle) 아버지의 형제(레20:20). 백주(白晝, day time) 환히 밝은 낮. 대낮(신28:29;암5:8;삼하12:12). 히브리인은 낮을 넷으로 나누어, ‘아침’(창1:19;시55:17), ‘오정’(창18:1), ‘날이 서늘할 때’(창3:8), ‘저녁’(창1:19)으로 말했다. 백철(白鐵, tin plate, wrought iron) 빛깔이 흰 쇠붙이(겔27:19). 함석, 양은, 니켈을 말한다. 백체(百體, whole body) 인간의 신체의 모든 부분(욥10:8,18:13;마5:29,30). “또한 만일 네 오른손이 너로 실족케 하거든 찍어 내버리라 네 백체 중 하나가 없어지고 온 몸이 지옥에 던지우지 않는 것이 유익하니라”(마5:30) 백탁병자(白濁病者, running sore, issue) 오줌이 뿌옇고 걸쭉한 병을 앓는 자(삼하 3:29). ‘성병’을 말하기도 한다. 백합화(白合花, lily) 나팔 모양의 흰 꽃(왕상7:26;아2:2;눅12:27;마6:28). “백합화를 생각하여 보아라 실도 만들지 않고 짜지도 아니하느니라 그러나 내가 너희에게 말하노니 솔로몬의 모든 영광으로도 입은 것이 이 꽃 하나만 같지 못하였느니라”(눅12:27) 백향목(柏香木, cedar) 튼튼하게 뿌리를 뻗는 강인한 수목. 구약성경에 70번이나 등장하는 귀한 나무로서, 수목의 왕으로 숭앙했음을 알 수 있다.높이가 40m에 줄기의 지름이 3m씩 자라는 웅장한 침엽수이다. 짙은 향기를 풍겨서 향기롭고, 나무진이 많아서 충해가 없을뿐더러, 방부력(防腐力)도 있어서 내구력이 뛰어나다. 게다가 아름답게 광을 낼 수도 있어서 가장 귀중한 건축재였으며(시104:16) 선박재, 악기재, 조각재, 관재로도 쓰였다. 뱀(蛇, snake. serpent) 파충류로 몸이 길고 기어 다님(창3:1,14;마10:16;고후11:3). 에덴 동산에서 아담의 아내 하와를 유혹한 ‘간교한 뱀’은 사단이 뱀을 써서 접근하였다. 뱀의 비유는 마귀, 사단, 독이 있는 것, 간교함으로 사용된다. “보라 내가 너희를 보냄이 양을 이리 가운데 보냄과 같도다 그러므로 너희는 뱀 같이 지혜롭고 비둘기 같이 순결하라”(마10:16) 뱃속(stomach) 배의 속(욘2:2;욥31:15;마12:40). “요나가 밤낮 사흘을 큰 물고기 뱃속에 있었던 것 같이 인자도 밤낮 사흘을 땅속에 있으리라”(마12:40) 뱉다 ① (spit out) 밖으로 내보내다(레15:8;막10:34,8:23) ② 함부로 말하다(잠14:5,14:25). 댓글 0
|
Address: 서울특별시 강남구 학동로77길 49 하림교회 (청담동 10번지)Tel: 02-456-3927Email: haezra@hanmail.net
Copyright 2000 스토리바이블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Nature with